728x90
반응형

리눅스를 자주 만지는 환경이라 공부 겸사겸사 자격증이라도 하나 따자 생각하여 관련 자격증 검색

 

LPIC 등 국제자격증이 더 인정받으나 유효기간이 존재했고 무엇보다 비싸다..

 

무난만만한 리눅스 마스터 1급을 따기로 결정

 

2급은 도저히 알량한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았다

 

 

1802 필기

 

접수비 : 40,000 원

 

필기 시험 접수 후 이왕 하는거 제대로 해보자는 생각으로 책 구입

 

당시 H사에서 근무 중이었고 업무가 힘들다는 등 이런저런 핑계로 시험 한달 전까지 진도를 절반도 안나감

 

취소할까 하다가 무작정 기출문제 풀기 시작

 

3년치를(15, 16, 17 + 1801) 풀기로 생각하고, 그 중 1501을 처음으로 풀었는데 57점( 합격컷트 60점)

 

엥? 할만한데? 싶어 기출만 풀기로 결심. 1501 기출 점수 미달 이후로 나머지 시험 60 ~ 70점 사이로 합격컷

 

처음 푸는 문제가 합격컷이 간당간당하니 오답까지하면 붙긴하겠다 싶었음 

 

심도있는 공부는 천천히하자 하고 내내 기출만 돌림. 일단 돈 아까우니까 붙여만두자..고 생각

 

70 초반으로 무난히 합격 

 

 

1802 실기

 

접수비 : 60,000 원

 

모든 자격증의 실기는 딱히 공부법이 없다고 생각하고 기출부터 시작

 

마찬가지로 3년치 풀어봤는데 문제가 죄다 거기서 거기였고 똑같은 문제가 주기적으로 반복

 

뭐 없네 하고 기출만 적당히 품

 

그러나 시험 결과는 40점대, 변명이겠지만 너무 괴랄하게 나왔다 생각

 

이전 기출에서 아파치 관련 문제는 내내 서비스 포트 옵션 키워드 및 값은? Listen 80 이 정도 물어보다가

 

듣도보도 못한 htpasswd 명령어가 답으로 나온거 보고 분노

 

관둘까 하다가 그래도 필기 붙여놓은게 아까워서 1901 기약

 

 

1901 실기

 

시험장소 :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시험일정 : 2019.05.11

시험환경 : Fedora 13

 

접수비 : 60,000 원

 

1802만 괴랄했는지 아니면 점점 난이도를 올리려한건지 확신이 없어서 열심히 하고자 했으나

 

이거 자격증 하나를 위해 모든 영역을 건드리고 싶진 않았음

 

5년치 (14~) 기출 싹 풀고 문제 내 관련 옵션에 해당하는 man page까지 싹 읽음

 

리마 실기 기출 해설한 블로그가 몇개 있는데 거기서 해설 한줄한줄 다 읽음

 

이전에 출제되었던 문제는 최대한 빠르게 문제만 보고 풀어 시간을 많이 확보하고 신유형에 집중하기로 생각

 

시험 당일, 이전보다도 많이 긴장함. 돈 생각에 합격이 간절해짐

 

이전 유형과 비슷했던 문제는 문제만보고 슥슥 풀고 나중에 확인 차 man 페이지를 확인

 

신유형중 단순 명령어 문제는 compgen -c 이나 Tab을 활용하면 쉘 상에서 칠 수 있는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활용하여 문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에 최대한 그럴듯한 명령어를 찾아 찾은 명령어의 man 페이지를 읽으며

 

해당 명령어가 문제에서 요구하는 작업을 실제로 수행하는지를 확인

 

모르는 옵션 설정 문제는 설정 파일 내 그럴듯한 옵션을 먼저 찾고 주석 및 옵션 키워드를 좀 더 자세히 읽으며 답 도출

 

1901도 이전시험에 비해 많이 괴랄했고 66점으로 겨우 합격

 

생각보다 낮은 점수에 조금 실망했으나 그래도 합격했으니 됐다며 스스로를 위로

 

 

 

괴랄했다는 말은 문제의 재활용성이 낮았다는 얘기

 

신유형이 점점 늘어나 기출'만' 으로 합격하기는 힘들것 같고

 

man 활용력과 명령어 및 옵션 키워드를 유추하는 센스가 필요하다 생각

 

문제의 재활용성이 낮아져서 이전에 비해 체감 난이도가 상승한거지 여전히 자격증 자체의 난이도는 높은편은 아님

 

728x90
반응형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후기  (0) 2021.01.01
랜섬웨어  (0) 2019.06.23
728x90
반응형

한글 인코딩

 

한글 인코딩이란?

 한글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

 

종류

 

1. 조합형

  자음, 모음 등을 하나의 문자로 인식하여 초성, 중성, 종성에 코드를 부여한 후 조합하는 방법

  한글의 창제 원리를 잘 반영하나, 타 문자 체계와 호환이 안되는 등의 이유로 사용 X

  ex) (ㅈ+ㅗ) + (ㅎ+ㅏ+ㅂ) + (ㅎ+ㅕ+ㅇ) - 8개의 문자

  

 

2. 완성형

  각 글자를 독립된 문자로 인식하여 각 글자에 코드를 부여하는 방법

  ex) ‘’ + ‘’ + ‘’ - 3개의 문자

 

  2.1 완성형 인코딩 종류

    EUC-KR(Extend unix code)

    - 1 Byte 단위의 문자(한글, 한자의 경우 2 Byte) 인코딩으로 한글, 한자, 영문 표현 가능

 

    UTF-8(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 유니코드를 위한 1~4 Byte 문자 인코딩, 전 세계 문자 표현 가능

 

----

 

유니코드 : 세계 문자 인코딩을 위한 기준 및 협약 ( 알파벳, 한글을 포함한 모든 언어 + 기타)

아스키코드 : 문자 인코딩을 위한 기준 ( 알파벳 + 아라비아 숫자 + 기타 )

 

728x90
반응형

'이론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ocking/Non-blocking, Sync와 Async: 개념과 예시  (0) 2023.08.17
[OOP]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 2021.02.27
가상화 ( IO )  (0) 2018.02.11
가상화 ( 서버 )  (0) 2018.02.11
TCP/IP  (0) 2018.02.10
728x90
반응형

[ELK] Kibana

작성일자 : 2019년 01월 29일




1. Kibana란?


Kibana는 Elasticsearch와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된 오픈 소스 분석 및 시각화 플랫폼입니다. Kibana를 사용하여 Elasticsearch 색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보고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고급 데이터 분석을 쉽게 수행하고 다양한 차트, 테이블 및 맵에서 데이터를 시각화 할 수 있습니다.




2. 설치 및 실행


환경 : Windows 7, Elasticsearch 6.5.4, Kibana 6.5.4, JDK 1.8


설치파일 다운로드

https://www.elastic.co/kr/downloads/kibana




압축 해제로 설치 후 디렉터리 구조




설치 완료 후 %KIBANA_HOME%/bin/kibana.bat을 실행하여 kibana 실행

- Elasticsearch가 실행 중 이여야 합니다.



Status changed from yellow to green - Ready 문구가 보이면 성공 !!



※ 환경설정


%KIBANA_HOME%/config/kibana.yml을 통해 환경설정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기본 환경설정파일의 일부이며 Default 설정이 주석으로 적혀 있습니다.  


# Kibana is served by a back end server. This setting specifies the port to use.

..


#server.port: 5601

#server.host: "localhost"

#elasticsearch.url: "http://localhost:9200" 


...





3. 기본 사용법


3.1 Main

브라우저로 localhost:5601(default) 접근 시 메인화면 




현재 Elasticsearch에 저장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kibana에서 제공하는 sample data를 추가하여 사용합니다.




적당한 데이터를 선택



Sampel을 추가하면 Elasticsearch에 해당 데이터셋이 저장되고 저장한 데이터를 kibana를 통해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추가된 Sample data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ibana


메인 > Management >Kibana > Index Patterns




kibana_sample_data_logs의 pattern 확인 !!



- Elasticsearch


elasticsearch index 확인 명령어(curl 사용)

curl -XGET 'localhost:9200/_cat/indices?v&pretty' 



kibana_sample_data_logs의 index 확인 !!



3.2 Discover 


데이터 셋을 raw한 json 형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3 Visualize


데이터 셋을 시각화 자료 추가 및 기존 시각화 자료 확인이 가능합니다.



기존의 시각화 자료




3.4 Dashboard


Visualize한 데이터를 토대로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있는 Dashboard입니다. Dashboard는 각각의 Panel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4. Reference


위 데이터 셋 및 시각화 자료는 Kibana에서 제공하는 Sample입니다. 

직접 자신의 데이터셋을 시각화 하고싶다면 아래 kibana user guide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lastic kibana user guide : https://www.elastic.co/guide/en/kibana/6.5/index.html


728x90
반응형

'도구, 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example  (0) 2020.05.01
[Spring boot] Logback 설정  (0) 2019.07.14
[ELK] Logstash  (0) 2019.01.28
[ELK] Elasticsearch  (0) 2019.01.24
[ELK] ELK 개요  (0) 2019.01.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