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환경 : centOS 7, docker 1.13.1 

 

docker 설치

> yum install docker -y

 

버전 확인

> docker -v

 

docker 실행

> service docker start

 

docker hub 에서 특정 이미지 검색

  ex) tomcat 관련 이미지 검색 시 

> docker search tomcat

 

docker hub 에서 특정 이미지 다운로드 ( 위 이미지 에서의 NAME 을 인자로 입력, 'docker.io' 생략 가능 )

> docker pull tomcat
   or
> docker pull docker.io/tomcat

 

현 시스템에 설치된 docker 이미지 검색

> docker images

 

 

컨테이너 실행

# 단순 실행
> docker run tomcat

# 쉘이 켜지는 상태로 실행 ( -i : interactive, -t : tty )
> docker run -it tomcat /bin/bash

# 포트 포워딩 ( Host 의 8081 포트를 Container의 8080 포트로 포워딩 )
> docker run -p 8081:8080 tomcat

# 별칭 설정
> docker run --name myTomcat tomcat

 

컨테이너 종료 하며 나가기

> exit
  or
Ctrl + d

 

컨테이너 종료 없이 나가기

Ctrl + p, q

 

컨테이너 현황 확인

# a 옵션 : 종료된 컨테이너 포함
> docker ps -a

 

컨테이너 접속 ( 위 이미지 에서의 NAMES or CONTAINER ID 를 인자로 입력 )

> docker attach myTomcat
   or
> docker attach 38d08a408d94

 

컨테이너 중단 ( 위 이미지 에서의 NAMES or CONTAINER ID 를 인자로 입력 )

> docker stop myTomcat
   or
> docker stop 38d08a408d94

 

컨테이너 재시작  ( 위 이미지 에서의 NAMES or CONTAINER ID 를 인자로 입력 )

> docker restart myTomcat
   or
> docker restart 38d08a408d94

 

 컨테이너 삭제 ( 위 이미지 에서의 NAMES or CONTAINER ID 를 인자로 입력 )

> docker rm myTomcat
   or
> docker rm 38d08a408d94

 

728x90
반응형

'도구, 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example  (0) 2020.05.01
[Spring boot] Logback 설정  (0) 2019.07.14
[ELK] Kibana  (1) 2019.01.29
[ELK] Logstash  (0) 2019.01.28
[ELK] Elasticsearch  (0) 2019.01.24
728x90
반응형

작성일자 : 2020.04.30

 

GIT 파일 관리 상태

GIT 에 의해 관리되는 파일은 크게 Untracked, Tracked 의 상태를 가지며 Tracked 상태의 파일들은 다시 Unmodified, Modified, Staged 의 상태를 가진다.

 

Untracked : 파일의 수정 여부를 git이 신경쓰지 않는 상태. 

Tracked : 파일의 수정이 일어났을 때 git이 파일의 변경을 감지하는 상태.

Unmodified : 추적중인 파일의 수정이 없는 상태

Modified : 추적중인 파일의 수정이 발생한 상태

Staged : 수정한 내용이 Staged area 에 올라가 Commit 할 수 있는 상태

 

* 새로 파일을 만들면 Untracked 상태가 된다. git add 명령어를 통해 Staging area 에 저장하면서 해당 파일을 Tracked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Git Repository 생성 후, 처음 파일 Push

 

1. Git Repository 생성

 

 

 

2. workspace 설정

 

git bash 를 사용하여 workspace 아래에서 작업

 

$ git init
$ git remote add origin 'git_repository_url'
$ git remote -v

 

 

3. push

 

git bash 를 사용하여 workspace 아래에서 작업

 

$ git add --all
$ git commit -m "comment"
$ git push origin master

 

 

 

 

Git Repository Clone

 

git bash 를 사용하여 workspace 아래에서 작업

 

$ git clone 'git_repository_url'

 

 

 

 

작업 내용 Push

 

$ git pull origin master         // 푸시 전 저장소 동기화
$ git status                            // 스테이징

$ git add -p                           // 스테이징할 파일 선택 y : 스테이징함, n : 스테이징 하지 않음, q : 명령어 종료 
$ git commit -m "comment" // 커밋
$ git push origin master       // 푸시

 

 

++

--allow-unrelated-histories  
서로 관련 없는 두 프로젝트를 병합을 허용하는 옵션

 

$ git pull origin master --allow-unrelated-histories  
728x90
반응형

'도구, 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기본 명령어  (0) 2020.05.24
[Spring boot] Logback 설정  (0) 2019.07.14
[ELK] Kibana  (1) 2019.01.29
[ELK] Logstash  (0) 2019.01.28
[ELK] Elasticsearch  (0) 2019.01.24
728x90
반응형

// gradle.properties

org.gradle.jvmargs = -Xms512m -Xmx2048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